top of page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권리금 보호 조항' 내용


굿비즈부동산
글작성<굿비즈부동산>

이번 시간에는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 의해 임대인이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상가 임차인들의 권리금 보호 조항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① 권리금에 대한 이해

권리금이란, 상가건물에서 영업을 하는 자 또는 하려는 자가 ‘영업시설, 비품, 거래처, 신용, 영업상의 노하우, 상가건물 위치에 따른 영업상의 이점’등을 양도하거나 또는 이를 이용하게 할 때 보증금, 차임 이외에 지급하는 금전 등의 대가를 의미합니다(법 제10조의3).


② 임차인의 권리금은 어떤 방식으로 보호

개정법은 임대인에게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를 방해하지 못하게 하고, 이를 위반하여 임대인이 방해행위를 하였을 경우 임차인이 입은 손해를 배상하도록 함으로써 임차인의 권리금이 보호되도록 하고 있습니다(법 제10조의4).


③ 임대인의 임차인에 대한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서는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를 4가지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ⅰ) 임대인이 임차인이 주선한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에게 임차인이 지급받아야 할 권리금을 요구하거나 수수하는 행위,

ⅱ) 임대인이 임차인이 주선한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로 하여금 임차인에게 권리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하는 행위,

ⅲ) 임대인이 임차인이 주선한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에게 현저히 고액의 차임과 보증금을 요구하는 행위,

ⅳ) 그 밖에 정당한 사유 없이 임대인이 임차인이 주선한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와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거절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④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신규임차인을 주선할 수 있는 기간은?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신규임차인을 주선할 수 있는 기간이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개정법의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임차인은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3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시까지’ 신규임차인을 주선하여야 하고, 이 기간 내에 임대인이 방해행위를 할 경우에만 임대인에게 손해배상책임이 있습니다(법 제10조의4).


⑤ 법이 개정된 이후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 "권리금 회수기회를 보호"

임차인은 법이 개정되기 전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다고 하더라도 개정법 시행일인 2015. 5. 13.에 계약기간 중에 있다면 권리금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부칙 제3조). 반면에 개정법 시행일인 2015. 5. 13. 당시 이미 종료된 임대차계약의 임차인은 개정법에 따른 권리금 보호를 받을 수 없습니다.



관련글



'돈'이되는 부동산 투자컨설팅 제공

「굿비즈인베스트」


관련 게시물

전체 보기

묵시적 갱신으로 연장된 상가임대차 계약은?

임차인이 계약만료일 6개월전부터 1개월전까지 사이에 임대인에게 계약을 연장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임대인이 아무런 연락 없이 계약만료일이 지났다면, 묵시에 의한 갱신이 이루어진것입니다. 즉 이런 경우를 두고 현장에서는 '자동연장'이라고 하

상가건물 임대차기간은 자동으로 10년이 보장될까?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개정되면서 임차인은 특별한 계약해지 사유가 없는한 가만히 있어도 임대차기간이 10동안 보장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결론적으로 말하면 자동으로 보장이 되지 않습니다. 임차인은 임대차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Q&A로 알아보는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 규정

임대인은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3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 시까지 기존 임차인이 권리금회수를 위해 임차인이 주선한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로부터 권리금을 지급 받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됩니다.

Commenti


bottom of page